[12시제]과거,현재,미래 - 한국어 사고를 적용하자!
시제? ‘문법 part.1~2’까지의 강의를 읽었다면 핵심적인 내용은 이미 배웠다.
→ ‘진행형, 완료형, 수동태’에 대한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있다면, 동사의 형태는? 단순 결합에 가깝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법책에서는, ‘12가지 종류’로 총정리(?)를 시도한다. 동사의 쓰임을 전체적으로 보여주고 싶은 욕심에서다. - 머릿속의 개념을 다시 한 번 정리하는 시간으로 활용하면 좋아, 학말영도 강의로 편성하게 되었다.
*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 주세요.
- 12시제 -
과거
- 했다, 했었다, 였다, 이었다
과거에 일어난 일, 동작, 상태 등을 나타낸다.(한국어처럼 생각하면 된다.)
<샘플>
I left the building before the accident happened.
I first met her three years ago.
I saw her yesterday.
He went to Europe last year.
He was born in 1995.
→ 빨간색 글씨에 주목하기 바란다. ‘과거’를 나타내는 ‘특정한 시점’이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다.
ex)ago, before, last, when I was young, the day before yesterday 등...
그런데, ‘특정한 시점’이 없는 문장은 어떨까?
He liked her. 그는 그녀를 좋아했다.
★ 과거형의 특징 - 현재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 ★
‘He liked her.’라는 문장을 원어민이 들었다고 상상해 보자.
→ 영어식 사고: 그는 그녀를 좋아했지만, ‘지금(현재)은 좋아하는지 아닌지’ 알 수가 없다.
단순히 과거형만 이해하고 싶다면? 한국어적인 사고로 생각해도 전혀 문제가 없다. 그런데, ‘특정한 시점’을 강조하고, 현재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귀찮은 말을 하는 이유가 뭘까? → ‘완료형’을 이해하려면, ‘과거형’과 구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
* ‘문법 part.1’의 완료형을 참조하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현재
- 이다, 하다, 한다
일반적인 사실, 습관, 규칙적인 행동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샘플>
The sun rises in the east. 태양은 동쪽에서 뜬다.
→ 과거 or 미래형을 사용해 보기 바란다. → 뜻이 이상해진다.
I go to school five times a week. 나는 일주일에 다섯 번 학교에 간다.
→ 이 문장을 말하는 사람이 ‘초중고등학생’이라고 가정해 보자. ‘과거 or 미래’로 바꿔보기 바란다. → 불가능하다. → ‘현재형’을 사용하는 건 당연하다.
<tip>영화 줄거리 - 쥬라기월드
쥬라기 월드는 Isla Nublar에서 문을 연다. ~~~ 형제 사이인 Zach와 Gray는 그들의 숙모인 Claire를 방문하기 위해 그곳으로 보내진다. ~~~ Owen Grady는 공원에 있는 네 마리의 벨로시랩터를 훈련시킨다.
아이러니 하게도, 12시제 강의를 선택하게 된 이유는 ‘현재형’ 때문이다. ‘읽기’ 강의에서 인용했던 ‘쥬라기월드’ 줄거리는, 이야기의 현실감을 살리기 위해 현재시제를 사용한다.
→ 한국어에서도 마찬가지다. 줄거리는 현재형을 사용한다. → 어떤 대단한 법칙이 있다기 보다는, 자연스럽고 상황에 맞는 시제를 쓰자는 것이? 핵심이다. → 절대 수학공식처럼 사용한다는 착각은 하지 말기 바란다.
★ 미래를 나타내는 현재형 ★
- 수학공식이 아닌, 언어라는 증거
‘정해진 일정 or 시간표가 있는 경우’는 미래를 나타낸다고 해도 ‘현재형’을 사용한다.
한국어 해석을 유심히 보기 바란다. 미래에 관련된 ‘단어’는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 신기하게도(?), 한국어에서조차 전혀 어색하지 않다.
→ 현재형이 미래를 나타낸다고 생각하기 보다는, 자연스러운 표현이라서 사용할 뿐이라고 이해하는 게 좋다, 독특한 경우가 아니다!
미래
will - 할/일 것이다.
미래에 일어날 행동이나 사건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너무 상식적인 내용이라 간단한 예문 하나만 보고 마치겠다.
* 뉘앙스를 be going to와 자주 비교하기는 하지만, 한국어 해석만 유념해서 보면 된다!
<샘플>
Jane: What will you do on this summer vacation?
이번 여름 휴가에 어디 갈거야?
Mina: I will go to Hawaii!
하와이 갈 거야!
정리
1. 과거는 과거일 뿐이다. 현재는 알 수 없다.
→ ‘완료형’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한 단서가 된다!
→ He liked her. 그는 (과거에) 그녀를 좋아했다.
→ 지금은??? 좋아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 과거형이 한국어 사고와 다른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완료형’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꼭 개념을 기억해야 합니다!
2. 현재와 미래는 한국어 사고로 생각하자.
'English > 문법 part.3'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시제 - 완료형]과거,현재,미래완료 (16) | 2015.08.19 |
---|---|
[12시제 - 진행형]과거,현재,미래진행(~하고 있는 중) (7) | 2015.08.12 |
to부정사를 어려워했던 진짜 이유, 전치사 to와 헷갈려서 (6) | 2015.06.05 |
[to]used to, 뻔한 숙어 표현? (2) | 2015.06.02 |
[to]be going to, 생각을 확장시켜라! (2) | 2015.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