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용]비교하지 마라

2017. 3. 3. 19:00

[학부모용]

비교하지 마라

 

 인간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간다. 경쟁은 누군가와의 비교를 통해서 더 가속화되고, 굳건해진다.

 

 아이들이 학교를 들어가는 순간부터 ‘시험점수’라는 것에 얽매이는 것도, 경쟁 심리라는 인간의 ‘사회성’을 습득해 가는 과정의 하나다. 노력의 결과물을 증명하는 수단, 경쟁에서 좀 더 앞서가는 수단의 하나로 ‘시험’이 사용되는 것이다.

* 시험 = 인류가 멸망하지 않는 한 사라지지 않을 중요한 수단

 

 시험(=경쟁) 자체는 절대 부정적이지 않다. 더 높은 점수를 얻은 친구를 보면서 자극을 받고, 동기부여가 되어서 ‘승부욕’이 생긴다.

 → 더 열심히 공부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 ‘선의의 경쟁’이라는 용어로 표현하기도 한다.

 

 그런데, ‘선의의 경쟁’이 성립하는 상황은 흔하지 않다. 이런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경쟁 상대와 엎치락뒤치락 해야 한다. 일방적으로 한 사람만 독주한다거나 뒤쳐진다면 이는 경쟁이 성립하지 않는다.

 → 너무 앞서 있는 사람은 더 이상 열심히 해야 한다는 흥미를 잃어버린다.

 → 너무 뒤쳐져 있는 사람은 더 열심히 해봤자 소용이 없다는 자괴감을 느낀다.

 * ‘선의의 경쟁’이 성립하더라도 오래 지속되지는 않는다. 결국은 누군가를 앞서가게 되어 있다.(경쟁의 법칙)

 

 문제는 여기서 발생한다.

 

 ★ 너무 (앞서 있거나 뒤쳐져 있을 때)

 정확히는 부모의 입장에서 이렇게 느낄 때다. 자녀와 같은 학년인 이웃집 아이가 있다면, 특히 상당히 점수가 좋고 똑똑한 아이라고 정평이 나 있다면 상황은 더 심각해진다.

 

 “옆집 OO는 OOO점 받았다는데, 넌 점수가 이게 뭐니?”

 부모의 입장에서는 속상할 수밖에 없다. 누구나 자신의 아이가 잘나길 바라는 게 인지상정이다. 하지만, 이런 말을 듣는 아이는 어떻게 될까?

 

 공부를 하기 싫게 되는 것보다 더 두려운 사실이 있다.

 → 패배의식에 사로잡힌다.

 

 반복적으로 누군가와 비교하는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는 ‘난 안 돼!’라는 자괴감과 함께, 무기력증에 빠져들 게 될 확률이 높다.

 → 자신은 재능이 없고, 어떤 것도 잘 할 수 없다는 착각 속에 살아가게 된다.

 

 아이러니하지만, 비교의 역효과는 자녀의 점수가 너무 높을 때도 일어난다.

 

 “우리 집 애는 저를 실망시키는 법이 없어요. 이번에도 100점을 받았지 뭐에요?”

 신기하게도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점수가 낮은 자녀와 똑같은 현상이 벌어진다. 점수가 갑자기 떨어지면 ‘이게 한계였어. 역시 난 안 돼.’라는 자괴감과 함께, 무기력증에 빠져들게 된다. 항상 잘해야 한다는 심한 압박감이 작용한 탓이다.

 → 자신은 재능이 없고, 어떤 것도 잘 할 수 없다는 착각 속에 살아가게 된다.

 

 명심해야 한다.

 

★ 누군가와의 비교는 불가능하다.(=출발점은 모두 다르다)

 나이, 학년이라는 것을 기준으로, 똑같은 시험 성적을 누군가와 비교한다는 것은 난센스에 가깝다. 공부에 있어서 평등이란 절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좀 더 어린 나이에 공부를 시작했을 수도 있고, 남들과는 다른 특수한 상황에 처해 있을 수도 있다.

 

 영어를 기준으로, 아버지가 캐나다인이라고 해보자. 혹은, 7~9살까지는 미국에서 살다가 왔다고 해보자. 영어를 못한다는 게 더 이상한 상황이다.

* 이것조차 비교하며 부러워할 사람이 있을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완벽한 건 어디에도 없다. 저런 경우에는 일반적인 한국인보다 ‘한국어’ 능력이 약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인간은 다양한 환경적 영향을 받고 살아간다. 이런 경우의 수를 배제한 채, 누군가와 비교한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To. 부모님

 부모가 비교하지 않으면, 아이는 다른 친구들과 비교하지 않는다.

 부모가 비교하면, 아이는 다른 친구들과 자신을 반복해서 비교한다.

 Why? 아이들은 부모의 생각, 행동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다.

 

 

 <포인트>

 공부에서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이 누군가와의 비교다!

 → 패배의식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p.s) 6개월의 법칙

 중학교에서 배우는 공부는 기초다. 좀 더 발전해나가는 게 아니라 어느 순간에서 멈춘 다음, ‘문제은행’식으로 반복해 시험 문제를 푸는 게 핵심이다.

 - 공부를 잘하는 학생과 못하는 학생의 차이는 크지 않다.

 

 대략 6개월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 주의: 영어라는 한 과목 기준임. 여러 과목을 한꺼번에 공부하면 시간은 더 오래 걸림.

 

 - 어린 학생들에게는 큰 차이라고 느낄지 모르지만, 현재 나의 관점에서는 미세한 차이일 뿐이다.

 → 패배의식을 느낀다는 건 정말 어리석인 생각이다.

 

반응형

'수능&토익&회화용 > 공부의 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레토의 법칙  (2) 2017.03.23
청개구리의 법칙  (0) 2017.03.22
[학부모용]환상 속의 그대  (0) 2017.03.01
6개월의 법칙  (5) 2017.02.28
벼락치기는 중학교 때나 가능하다  (0) 2017.02.26

학말영 수능&토익&회화용/공부의 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