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 왕좌의 게임-스타크처럼 살고 싶지만, 현실은 라니스터다.

2014. 3. 22. 12:00

 

미드의 1번타자! 일명 ‘미드의 본좌’라고 불리는 ‘왕좌의 게임’이다. 소설 원작으로, 시즌3까지 완결된 상태다. 그 인기는 어마어마해서 2013년, 시즌3의 episode.1은 역대 불법다운로드 기록을 갱신했다고 한다. 왕좌의 게임을 방영하는 HBO가 유료채널인 점이 불법다운로드를 부채질 하는 이유기도 하지만, 그만큼 사랑받고 있는 미드다. 오늘은 4월 6일이면 시작되는 시즌4의 방영에 맞춰 ‘왕좌의 게임’의 인기 비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시즌3까지의 내용으로만 작성한 글임,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으니, 시즌3까지 시청한 분들만 봐 주세요.

 

 

스타크처럼 살고 싶지만, 현실은 라니스터다.


극의 초반, 스타크 가문은 정의, 라니스터 가문은 악당인 것으로 출발한다. 기존의 판타지라면 스타크는 영웅이 되고, 라니스터는 비참한 최후를 맞아야 한다. 그러나 시즌3까지의 결과는 정반대다. ‘권선징악’의 전형적인 틀에서 벗어난 결과다. 솔직히, 현재까지 라니스터 가문이 이기고는 있지만, 극의 흐름은 아직 미궁 속이다. 아직 원작이 완결도 안된 상태니, 뒤는 알 수 없다.(시즌4에서는 '선한 자'들의 반격이 시작된다고 한다.)

가문이라는 설정은 현실성을 극대화 시키는 수단으로 작용한다.

 

실제로 9개 가문이 등장하나, 시즌3까지의 내용상, 극의 흐름은 3개 가문으로 압축된다. 바라테온 가문도 한 몫 하고 있으나, 살아남은 스타니스의 계속된 실수로 탈락!

 

‘왕좌의 게임’이 현실적이라고 느끼는 이유는 극의 흐름만 갖고 설명하는 건 아니다. 극 중 캐릭터들의 대화에서도 확실히 현실을 빗대고 있다.

 

 You have one name. As do I. Here, only the family name matters.

(나처럼 성은 없이 이름뿐이군요! 여기선 가문의 이름만 중요할 뿐이라오.)

내시 바리스가 티리온의 정부 셰이에게 왕국을 떠나라며 하던 말이다. 왜 이게 현실적인지는 여러분의 판단에 맡기겠다.

 

 

전투 장면이 거의 없다


전투 자체는 중요치 않다. 누가 실익을 얻었느냐가 중요할 뿐이다. 대부분의 전쟁 영화를 보면 전투 장면이 스토리의 절정, 클라이막스 역할을 한다. ‘왕좌의 게임’은 전형을 과감히 뒤틀어 버린다.

 

예시) 

시즌1- 전투신은 전혀 없이 이미 라니스터를 포획한 장면만 나온다.

시즌2- 블랙워터 전투신은 와일드 파이어가 터지는 압권의 장면을 보여주긴 하지만, 여기서도 전투의 일부분만 보여줄 뿐이다.

 

 

캐릭터가 너무 많다. (최고의 인기 비결)


 

대부분의 영화,소설은 인물을 한정시킨다. 다양한 인물은 극의 집중도를 떨어뜨리는 부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왕좌의 게임’은 이런 점은 안중에도 없다. 셀 수 없이 많은 캐릭터들이 쏟아져 나온다. 그 중에서도 정든 캐릭터만 골라 가차 없이 죽여버린다. 죽인 다음에는 모욕까지 준다. 이건 신의 한수다. 이보다 더 좋은 충격요법은 없다. 캐릭터들이 넘쳐나는 왕좌의 게임에서만 가능한 반전 요소다.

 

몰살당하다시피 한 스타크 가문에는 아직 4명의 캐릭터가 남아 있다. 또 어떤 반전이 있을지 궁금하다. 대부분의 시청자들은 스타크의 반격을 기다리고 있다.

 

 

모두가 주인공이다 


어떤 캐릭터도 버리지 않는 고도의 전략을 쓴다. 감정이입 할 수 밖에 없는 이야기로 모든 캐릭터를 사랑하게 만든다. 정말 악독한 캐릭터에게도 빠져들게 만드는 신기(神技)에 가까운 기술이 녹아 있다.

 

예시)

시즌1의 제이미 라니스터는 완전 비호감

입만 열면 얌체 발언에, 못된 짓만 골라서 한다. 시즌1의 적자(嫡子)인 스타크 가문 아들 브란을, 나오자 마자 앉은뱅이로 만들어 버린다.

 

시즌3에서 의도적(?)으로 보호본능을 일으키게 만든다.

손목이 잘려 연민의 정을 느끼게 한다. 동료를 구하러 곰에게 몸을 던지는 살신성인 정신을 보여준다. 킹슬레이어가 될 수 밖에 없었던 과거를 굳이 설명까지 한다. 결국 완벽한 호감형 인물로 탈바꿈한다. 작가에게 술 한잔 꼭 사야할 캐릭터다.

 

 

낯설게 하기


 

 

문학 작품을 만들 때 쓰는 하나의 방식이다. 흔한 것을 흔하지 않게 포장하는 것이다. 판타지에서 빠지지 않는 요소는 드래곤이다. 너무 흔한 드래곤을 아껴 쓴다. 처음에는 아예 멸종되었다고 말한다. 대네리스가 남편에게 알을 선물 받지만, 화석화되어버린 장식품에 불과하다. 그래서, 시즌1의 마지막회에 탄생하는 드래곤은 압권이다.

 

원작자의 성향이 독특하다 


 

이 분은 쓰레기를 많이 읽어서 좋은 글을 쓸 수 있다고 한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읽지 말라고 당부까지 한다. 흥미로운 점은 필자의 어린 시절, KBS 2TV에서 7시 쯤 방영했던 ‘미녀와 야수’ 시리즈 제작에 참여했다는 것이다. 독특한 설정으로 즐겨 봤던 기억이 난다.

(터미네이터의 ‘린다 해밀턴’, 헬보이의  '론 펄먼' 주연)

 

이 분의 내용은 네이버 캐스트에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으니 각설하겠다.

링크: 네이버 캐스트-장르를 넘나드는 새로운 거장 

 

Tip)작가는 영화 제작 제의를 받았지만, 판권을 팔지 않았다. 양이 너무 방대해 짧은 러닝 타임으로는 소화하기 힘들다고 판단, 더 많은 이야기를 풀어 낼 수 있는 미드로 방향을 틀었다. 탁월한 선택이었다.

 

 

원작의 집필기간이 길다 


 

5권까지 나오는데 무려 18년이 걸렸다. 그만큼 원작자는 여유롭게 생각하고 최선의 결과물을 뽑아낼 수 있다.(완결 전에 작가가 죽어버리지 않을까 우려 하는 사람이 상당히 많다.)

 

 

각색이 뛰어나다 


 

책의 내용은 상당히 어렵다. 한 권 분량이 영문판으로 1000쪽에 이른다. 그 뿐만 아니다. 읽다 보면 가문, 캐릭터의 이름을 다시 찾아봐야 하는 지경에 이른다.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까지 힘들어 할 만한 고어(古語)가 많이 나와 독자에게 끈기를 요구한다.(원작의 팬인 캐나다인으로부터 직접 들은 내용, 거의 정확하리라 판단)

 

대사분량도 상당한 수준인데, 몇 페이지가 대화로만 이루어지는 경우는 예사다. 극의 흐름에서 중요한 부분은 긴 대사를 압축하기도 쉽지 않다. 이것을 지능적인 각색으로 자연스럽게 이야기한다.

 

예시)

자칫 지루해질 수 있는 대화를 사슴 가죽 벗기는 장면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간다. 개인적으로 타이윈 라니스터 최고의 장면으로 생각한다.

 

tip)원작자도 각색에 참여하고 있다. 원작과 다른 각도로 표현하고 싶은 욕심이 엿보인다.

 

 

HBO가 제작한다 


 

‘밴드 오브 브라더스’라는 대작을 만든 회사기도 하다. 제작비는 왠만한 블록버스터를 웃도는 수준이다. 시즌1의 경우, 5~6천만 달러, 시즌2는 화려한 전투신을 위해 15%가 상승한 금액이 투입되었다. HBO가 만든다면 게임은 끝난거나 마찬가지다.

참조-game of thrones, wikipidia

 

tip)타임 워너 컴퍼니(Time Warner, Inc.)

HBO가 소속된 막강한 미디어 재벌이다. CNN, 워너브라더스, 포춘, 타임지 등을 소유하고 있다. 한국의 CJ같은 회사라 생각하면 됨.

참조-타임 워너, 위키백과

 

이제 시즌4의 방영이 얼마 안 남았다. 필자에겐 월드컵보다 더 기다려지는 미드다.

 

반응형

학말영 Review/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