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vs토익]수능은 한국어 시험이다

2017. 4. 2. 22:52

수능은 한국어 시험이다

3점 짜리 문제 기준

 

 

 미국인도 풀지 못하는 시험 문제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영어와는 동떨어진 시험 문제

 

 수능에 자주 붙는 수식어다. 쓸모없어 보이는 수능 시험의 영어는, 이름 자체에도 있지만, ‘대학수학능력시험’이라서 그렇다.

 

 대학교에서는 글로만 읽어서 이해가 되는 내용을 배우지는 않는다. 책과 함께 교수님들의 설명이 덧붙여져야만 이해할 수 있다. 간혹, ‘왜 이런 걸 배워야 하지?’라는 의문이 들기도 하고, 이해 자체를 포기하기도 한다.

 수능이 즐겨 사용하는 변별력이다.

 

 한국인들이 오해하는 부분도 여기에 있다. 수능의 영어시험을 포기하게 되는 이유는 ‘영어’를 못해서가 아니다. 한국어 해석을 완벽하게 해도, 무엇을 묻는지를 이해하지 못해서 틀리게 된다. → 수능은 영어 시험이 아니라 언어의 이해도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 미국인도 풀지 못한다는 건 너무 당연한 이치다. 한국인이라면 당연히 ‘국어’ 시험에서 만점을 받아야 한다고 착각하는 것과 같다.

 

 

 수능의 지문은 학술지, 논문, 신문의 사설 등에서 발췌한다

 

 왜 이렇게 글을 복잡하게 쓸까? ‘시험에 틀리게 내려고 일부러 단어나 문체를 꼬아 놨을거야!’라고 생각해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수능 출제위원이 몇 십만의 수험생들을 인질로 장난을 칠 수는 없다. 자칫 지문에 오류라도 있다면 후폭풍은 엄청날 수도 있다.

→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발췌를 한다.

 

 

 지난 시간에 예를 들었던 침팬지 관련 문장이 포함된 전체 글의 모습이다. 이것을 수능형으로 바꾸는 방법은 상당히 단순하다.

 

 

 

 고의적으로 주제를 흐릿하게 한다

 

 발췌의 방법에 진짜 변별력이 숨어 있다. 지문의 양이 방대한 곳에서 1~2개의 문단만 발췌해 오는 방식이다. 당연히 제목은 전혀 보여주지 않는다. 학술지나 논문에 나오는 내용들은 글 전체를 읽어도 이해하기 힘든데, 아예 일부분만 보여준다.

 

 불편한 진실이지만, 수능의 변별력은 어떤 내용인지 이해를 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 답을 찾는 게 아니라, 먼저 이해하려고 한다면? 시간만 가고 시험을 망칠 수도 있다.

 * 인간에게는 호기심이라는 본능이 있다. 무의식적으로 이 글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어떤 주장을 전달하려 하는지 알고 싶어진다. 특히 완벽주의를 지향한다면 이런 성향이 더 크겠지만? 억지로라도 이런 마음을 참아야 한다.

 

 

 수능은 객관식이다

 

 맞는 것보다 틀린 답을 찾는 데 주력하는 게 낫다. 사실, 수능 문제를 풀어보는 훈련을 반복하면, ‘둘 중의 하나가 답일 것 같은데’라는 느낌이 올 때가 있다.

 

 예를 들어,

 ①②③④⑤의 선택지 중에 ①②④는 답이 아닐 것이라는 느낌이 강하다. 정확하다기 보다는 다년간 문제만 풀어보는 훈련을 한 자신의 뇌가 본능적으로 신호를 보낸다는 의미다(거의 맞을 확률이 높다). 그리고, 남는 번호는 ③⑤다. 자, 그럼 2가지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단순히 감(感)으로 찍으라는 것은 아니다. ③⑤에 나온 글이 주제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 글을 다시 보는 것이다. 즉, 2개의 선택지 내용과 지문을 '왔다 갔다' 하며 글을 다시 뒤지는 것이다.

 

 어떤 게 더 맞을까?

 정확하게 맞는지는 알 수 없지만, 좀 더 자연스럽다고 느껴지는 선택지는 있을 것이다.

 → 답일 확률이 높다.

 

 뭔가 야매로 설명하는 것 같지만, 3점짜리 문제는 이런 방식으로 풀어야지만 답이 나오는 경우가 은근히 많다. 정답을 확인하고 아무리 해석을 해 봐도 미궁 속에 빠져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

 → 이런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려 하는 순간? '꽝'이다.

 

 

 <포인트>

 억지로 이해하려 하지 마라.

 → 수능의 변별력은 이해하지 못하게 하는 데 있다.

 

 

 

반응형

학말영 수능&토익&회화용/2017 영어공부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