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익용]배울 수 있는 건 part.5.6 밖에 없다.

2017. 4. 12. 11:59

토익 part.5,6

유일하게 배울 수 있는 것

 

 

 토익을 공부하기 위해 많은 학생들이 학원을 다닌다. 단기간에 최대한 점수를 많이 올리기 위해서다. 그만큼 학원에서는 학생들의 점수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학생들이 실력이 늘고 있다는 느낌이 들게 만들어야 한고, 점수를 높일 수 있는 확실한 전략을 제시해야 한다. 그래야지만, 다음 달 수강 등록까지 연결시킬 수 있다. 어떻게?

 

 

 part.5,6에 집중하는 것이다.

 

 ‘문법과 해석’ 문제가 교묘하게 섞여 있는 부분으로, part.5의 경우에는 한 문제당 ‘한 문장’만 나온다. part.6의 경우는, 글이 좀 더 길고 뭔가 다른 것처럼 꾸며놨지만, 결국 part.5의 연장선상에 있는 문제다. 추가적으로 앞 뒤 문맥의 ‘연결고리’를 묻고 있을 뿐이다.

 * 2016년, 新(?)토익에서는 part.6의 문제가 대대적으로 바뀐 것처럼 포장해 놨지만, 큰 틀은 똑같다.

 

 학원에서 part. 5,6를 집중하는 이유가 뭘까?

 단기적인 효과가 가장 크다! 마치, 공식처럼 접근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토익시험이 누적되면서 반복해서 나오는 단골 단어와 패턴은 한정적이다. ‘문제은행’식으로(=쪽집게식으로) 정리가 가능해지고, 문제 유형만 봐도 어느 정도 답을 유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왜 뻔하게 시험 문제를 내지?

 토익 출제 위원들도 이런 점을 모르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문제를 변칙적으로 내려 해도 ‘시험의 취지’가 있기 때문에, 그 틀을 완벽히 벗어나서 낼 수는 없다. business 영어를 표방하면서 학술적인 단어를 함부로 사용할 수 없다. 어쩔 수 없이 특정 단어가 자주 등장하고, ‘문법’이란 것도 엄밀히 따져보면 자주 사용되는 단어의 쓰임이기 때문에, 사용되는 (문법적인) 패턴도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 어느 정도의 패턴은 읽을 수 있게 된다!

 * ‘문법’이 단어의 쓰임이라는 증거?

 ex. make는 사역동사로 쓰인다. - make +명사+동사원형, 과거분사...

 → 사실은 문법이 아니라, make의 사용법이다. 너무 자주 쓰이다  보면, 문법으로 배울 뿐이다.

 

 

 듣기(part.1,2,3,4)와 독해(part.7)는?

 

 학원에서 듣기와 독해도 배우는데? 약간 의아해 할지 모르겠다. 맞다. 모두 배우긴 한다. 하지만, 큰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듣기의 수준은 읽기보다 훨씬 낮다.

 단순하게 생각해보자. 글을 쓰는 게 쉬운가, 말하기가 쉬운가? 당연히, 말하기가 쉽다. 글은 정확한 의미를 한정된 공간(종이) 안에 담아내야 한다. 그래서 글의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의미 자체를 함축하게 된다. 혹은 ‘그들만의 리그’를 위해 고의적으로 어려운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그들만의 리그: 대학교의 전공 서적이나 영어 문법의 어려운 용어가 이에 속한다.

 - 영어를 전공하지 않은 나는 아직도 모르는 영어 문법 용어가 수두룩하다.

 

 이에 반해 말하기는 ‘정확한 의사 전달’이 최우선이다. 일부러 꼬아서 말하지 않는다. 즉, 누군가에게 자세히 배워야 할 정도의 어려운 문장이 잘 나오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리고, ‘듣기’ 연습은 직접해야 한다. 누군가 대신 들어줄 수가 없다. → 학원에서 듣기를 배우는 효과는 상당히 미미하다.

 * 못 믿겠다면? 듣기 문제의 대본만 읽어보기 바란다. 리딩의 글보다 훨씬 쉽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토익보다 난이도가 높은 토플, 텝스의 듣기를 봐도 마찬가지다. 리딩보다 훨씬 수준이 낮다.

 → ‘수능 듣기’를 고등학교나 학원의 수업에서 가르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굳이 가르칠 필요가 없다) 

 

 읽기를 많이 한 사람은 독해를 안 배워도 잘한다.

 독해(part.7)는 참 특이하다. 내 주변의 친구들이나 후배를 보면, 공부하지 않아도 독해 만큼은 만점에 가까운 점수를 받는 경우가 있었다. 나는 항상 시간에 쫓기며 5~10문제 정도를 놓치는 상황에서 그런 친구들을 보면 이해할 수가 없었다.

 

 내 친구와 나의 결정적인 차이는 영어 실력이 아니었다. ‘읽기 능력’에서 결정적인 차이가 났다. 수능 공부에서도 언급했지만, 독해는 한국어 능력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즉, 책을 많이 읽은 사람이 좀 더 빨리 읽고, 요점만 캐치(catch)하는 능력이 탁월하다는 의미다.

 =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이 공부를 잘한다.

 

나처럼 어릴 때 책을 등지고 살았던 사람에게는 ‘독해’가 쉽게 느껴질 수는 없는 게 당연하다. 그런데, 이것을 학원의 수업 몇 번으로 잘 할 수 있다?

→ 넌센스에 가깝다.

 * 결국 독해는 책을 많이 읽어야 된다? 꼭 그런 건 아니다. 반복해서 토익 독해 파트의 지문들을 많이 읽어보는 것으로 극복 가능하다.(단지, 책을 많이 읽어서 독해를 잘하려면? 몇 년이 걸릴지 모를 일이다)

 

 

 <포인트>

 part.5,6을 학원에서 배우는 개념은, 대학교의 교양수업과 비슷하다.

 수업은 제대로 듣지도 않고 중간에 몰래 빠져나가거나 잠만 자는 학생이 있다고 해보자. 당연히 수업 내용은 전혀 필기 하지 않았다. 그런데, 덜컥 중간고사가 되었다. 믿을 건 가장 친한 친구의 필기노트 밖에 없다. 시험이 끝나면 크게 한 턱 쏘겠다며 통사정을 하는 바람에 빌려주지 않을 수가 없다.

 

 다행히도 친구의 필기노트는 완벽하다. 수업을 듣지 않았는데도 어느 정도는 이해가 되고, 이 정도면 중간 이상의 성적은 받을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붙는다.

 → 딱 이 정도가 학원에서 배울 수 있는 수준이다.

 

 아쉽지만, 완벽히 정리가 되어 있더라도, 결국은 타인의 노하우다. 자신의 것은 아니다. 그리고, 교수가 작정하고 핵심은 아니라고 말한 부분에서 시험문제를 낸다면? 시험을 잘 칠 수는 없다. → 토익도 마찬가지다. 진짜는 스스로 익혀야 한다는 것은 명심하기 바란다!

 

 

 [주의] 학원에서 배우는 효과는 초보에게만 해당한다. 처음에는, 실력이 부족한 사람이 패턴이란 것을 활용해 몇 문제를 더 맞출 수 있다. 하지만, 고득점의 영역에서는 패턴이란 게 의미없는 문제가 변별력이 된다.(해석이나 어려운 단어)

 = 학원은, 초보자에게 ‘part.5,6 강의만’ 배울 수 있는 곳이다.

 = 진짜는 배울 수 없다.

 

 

반응형

학말영 수능&토익&회화용/2017 영어공부법